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문제풀이

백준 16236 아기상어 (bfs,구현,시뮬)

by y00ns00 2020. 12. 30.

아기 상어 성공분류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
2 초 512 MB 24206 10223 5687 38.514%

문제

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

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 크기는 자연수이다. 가장 처음에 아기 상어의 크기는 2이고, 아기 상어는 1초에 상하좌우로 인접한 한 칸씩 이동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큰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없고, 나머지 칸은 모두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같은 물고기는 먹을 수 없지만, 그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가 어디로 이동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공간에 없다면 아기 상어는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라면, 그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보다 많다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거리는 아기 상어가 있는 칸에서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할 때, 지나야하는 칸의 개수의 최솟값이다.
    • 거리가 가까운 물고기가 많다면, 가장 위에 있는 물고기, 그러한 물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왼쪽에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아기 상어의 이동은 1초 걸리고, 물고기를 먹는데 걸리는 시간은 없다고 가정한다. 즉, 아기 상어가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했다면, 이동과 동시에 물고기를 먹는다. 물고기를 먹으면, 그 칸은 빈 칸이 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와 같은 수의 물고기를 먹을 때 마다 크기가 1 증가한다. 예를 들어, 크기가 2인 아기 상어는 물고기를 2마리 먹으면 크기가 3이 된다.

공간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아기 상어가 몇 초 동안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공간의 크기 N(2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공간의 상태가 주어진다. 공간의 상태는 0, 1, 2, 3, 4, 5, 6, 9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 0: 빈 칸
  • 1, 2, 3, 4, 5, 6: 칸에 있는 물고기의 크기
  • 9: 아기 상어의 위치

아기 상어는 공간에 한 마리 있다.

출력

첫째 줄에 아기 상어가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는 시간을 출력한다.

 

package algostydy06_Baekjoon_16236;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mparato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a[] = {-1,0,1,0};
	static int b[] = {0,-1,0,1};
	static int n;
	static int eat;
	static ArrayList<int[]> list;
	static int siz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n];
		
		int shark[] = new int[2];
		
		for(int i = 0 ; i < n ; i++) {
			String tmp[] =  br.readLine().trim().split(" ");
			for(int j = 0 ; j < tmp.length ; j++) {
				int num = Integer.parseInt(tmp[j]);
				map[i][j] = num;
				
				//아기 상어의 초기 위치 저장
				if(num == 9) {
					shark[0] = i;
					shark[1] = j;
				}
			}
		}
		
		
		
		eat = 0;
		size = 2;
		int time = 0;
		while(true){
			list = new ArrayList<int[]>();
			visited = new boolean[n][n];
			bfs(shark[0],shark[1]);
			
			//상어 이동 했으니 이전 자리를 0
			map[shark[0]][shark[1]] = 0;
			
			//더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공간에 없다면 
			// bfs를 돌렸는데 size보다 작은 숫자가 없다.
			if(list.size() == 0) {
				break;
			}
			// 물고기가 있다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물고기(최소 거리를 알아야한다)
			if(list.size() ==1) { // 한마리이면 먹으러 간다
				eat += 1;
				
				int x = list.get(0)[0];
				int y = list.get(0)[1];
				int dis = list.get(0)[2];
				//이동한 자리를 9로 
				map[x][y] = 9;
				shark[0] = x;
				shark[1] = y;
				time  += dis;
			}else if(list.size() > 1) { // 한마리 이상이면 정렬 후 먹으러간다
				eat += 1;
				list.sort(new Comparator<in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int[] o1, int[] o2) {
						// 정렬 맨위쪽 값을 찾기위해 맨위쪽 값이 많으면 제일 왼쪽 값
						return o1[2]-o2[2] != 0 ? o1[2]-o2[2] : o1[0]-o2[0] == 0 ? o1[1]-o2[1] : o1[0]-o2[0] ;
					}
				});
				

				int x = list.get(0)[0];
				int y = list.get(0)[1];
				int dis = list.get(0)[2];
				//이동한 자리를 9로 
				map[x][y] = 9;
				shark[0] = x;
				shark[1] = y;
				time  += dis;
			}
			
			//물고기 먹은수와 사이즈 비교 같으면 사이즈 증가시키고 먹은수 0 으로 초기화
			
			if(eat == size) {

				size += 1;
				eat = 0;
			}
			
			
			
		}// while end
		
		
		System.out.println(time);
		
	}
	
	public static void bfs(int x,int y) {
		Queue<int[]> que = new LinkedList<int[]>();
		
		que.add(new int[] {x,y,0});
		
		visited[x][y] = true;
		while(!que.isEmpty()) {
			int	shark[] = que.poll();
		
			int dis = shark[2];
			for(int i = 0 ; i< 4 ; i++) {
				int mx = shark[0]+a[i]; 
				int my = shark[1]+b[i];

				if(mx>=0 && my>=0 && mx <n && my<n) {
					if(!visited[mx][my] && map[mx][my] !=0 && map[mx][my] <size) {
						visited[mx][my] = true;
						list.add(new int[] {mx,my,dis+1});
					
					}else if(!visited[mx][my] && (map[mx][my] == 0 || map[mx][my] == size)) {
						visited[mx][my] = true;
						que.add(new int[] {mx,my,dis+1});
						
						
					}
				}
				
			
			}

		}
		
	}
	
	
}

나의 풀이

 

1. 처음 bfs 를 돌리면서  자신의  size보다 작은 수들을 Arraylist(int[]) 저장 
상어의 이전 위치를 0으로 

2,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들이 저장되어 있는 list의 크기가 0이면 종료

1이면 바로 이동 크면 정렬 후 이동하고
이동한 위치에서 bfs 를 다시 돌릴수있도록 
shark[0] = x;
shark[1] = y; 

초기화 후 이동한 거리 더해주기

3.물고기 먹은수와 사이즈 비교 같으면 사이즈 증가시키고 먹은수 0 으로 초기화

while 문으로 반복

 

//

처음 접근을 조건 을 대충보고 구현했더니 방법이 아예 잘못되어 

주어진 조건을 차례대로 다시 구현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