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구조
이진탐색(이분탐색)알고리즘
y00ns00
2021. 5. 30. 01:08
BinarySearchTree와 이진탐색 모두 조회에 있어 O(logN)의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삽입&삭제 연산의 성능이 다르다.
BST vs 이진탐색 알고리즘 성능비교
이름 | 조회 | 삽입 | 삭제 |
BST | O(logN) | O(logN) | O(logN) |
이분탐색 | O(logN) | N | N |
이진탐색 알고리즘(선형 자료구조)의 한계
이진탐색 알고리즘의 전제조건은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한다" 라는 것이다.
이진탐색을 하기 위해서는 인덱스 접근을 빠르게 해야하므로 배열리스트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배열 리스트에서의 데이터 삽입은 데이터들을 뒤로 밀어야하므로O(N)이다.
따라서 이진탐색 알고리즘(선형자료구조)에서의 삽입&삭제는 모두O(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