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스크립트26 자바스크립트 if와 ?를 사용한 조건처리 if문 if(...)문은 괄호 안에 들어가는 조건을 평가하여 그 결과가 true이면 코드 블록이 실행 #if 문을 쓸때는 조건이 참일 경우 실해오디는 구문이 단 한줄이더라도 중괄호 {}를 사용해 코드를 블록으로 감싸는 것이 권장 가독성 증가 불린형으로의 변환 if(...) 문은 괄호 안의 표현식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불린값으로 변환 숫자0, 빈문자열"",null,undefined,NaN은 불린형으로 변환시 모두 false else 절 if 문에는 else 절을 붙일 수 있다. else 뒤에 이어지는 코드 블록은 조건이 거짓일때 실행된다. else if 로 복수조건 처리하기 유사하지만 약간씩 차이가 있는 조건 여러 개를 처리해야 할때가 있다. 이때 else if 를 사용 조건부 연산자 ? 조건에 따라 다른.. 2020. 12. 2. 자바스크립트 비교 연산자 큼 작음 >,= , 2020. 12. 2. 자바스크립트 형 변환 함수와 연산자에 전달되는 값은 대부분 적절한 자료형으로 자동 변환된다. 이런 과정을 형 변환 이라고 한다. 문자형으로 변환( String(value) ) 문자형으로의 변환은 문자형의 값이 필요한 때 일어난다. 숫자형으로 변환( Number(value)) 숫자형으로의 변환은 수학과 관련된 함수와 표현식에서 자동으로 일어난다. alert( "6" / "2" ); // 3, 문자열이 숫자형으로 자동변환된 후 연산이 수행됩니다. # 숫자이외의 글자가 들어가 있는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하려고 하면 그 결과는 NaN이 된다. 불린형으로 변환(Boolean(value)) 숫자 0, 빈 문자열, null, undefined, NaN과 같이 직관적으로도 '비어있다고' 느껴지는 값들은 falsse가 된다. 그 외의 값은.. 2020. 12. 2. 자바스크립트 상호작용(alert,prompt,confirm) alert alert - 함수가 실행되면 사용자가 확인(OK)버튼을 누를 때가지 메시지를 보여주는 창이 계속 떠있게 된다. prompt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prompt 함수는 두 개의 인수를 받는다. result = prompt(title, [default]); 함수가 실행되면 텍스트 메시지와 입력필드, 확인 및 취소 버튼이 있는 모달 창을 띄워 준다. title : 사용자에게 보여줄 문자열 default: 입력필드의 초깃값(선택값) 인수를 감싸는 대괄호[...]의 의미 default를 감싸는 대괄호는 이매개변수가 필수가 아닌 선택값이라는 것을 의미 confirm confirm 함수는 매개변수로 받은 question과 확인 및 취소 버튼이 있는 모달 창을 보여준다. 2020. 12. 2. 자바스크립트 자료형 let name = "John"; // 변수를 문자열 중간에 삽입 alert( `Hello, ${name}!` ); // Hello, John! 자료형 자바스크립트에는 여덟가지 기본 자료형이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변수는 자료형에 관계없이 모든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변수는 어떤 순간에 문자열일 수 있고 다른 순간엔 숫자가 될 수도 있다. 이처럼 자료의 타입은 있지만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타입은 언제든지 바꿀 수 있는 언어를 '동적 타입언어' 라고 부른다. 숫자형 숫자형은 정수 및 부동소수점 숫자를 나타낸다. 숫자형엔 일반적인 숫자 외에 Infinity, -Infinity, NaN같은 '특수 숫자 값(special numeric value)'이 포함됩니다. Infinity는 어떤 숫자보다 큰 특수 값 .. 2020. 12. 2. 자바 스크립트 변수와 상수 변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이름이 뭍은 저장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let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생성한다. - 정보(let 대신 var) 만들어진 지 오래도니 스크립트에서 let 대신 var 라는 키워드를 발견하는 경우가 있다. var는 let과 거의 동일하게 동작 var도 let 처럼 변수를 선언하는데 사용한다 다만 var는 '오래된' 방식 변수에는 어떤 값이든지 넣을 수 있다 원하는 만큼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값이 변경되면 이전 데이터는 변수에서 제거된다. 변수를 두번 선언하면 에러가 발생 - 따라서 변수는 딱 한번만 선언하고 선언한 변수를 참조할 때는 let 없이 변수명만 사용해 참조해야 한다. 함수형 언어 -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는 변수값 변경을 금지한다. 변수 명명 규칙 자바.. 2020. 12. 2. 자바 스크립트 엄격모드(use strict) 엄격모드 use strict 혹은 use strict 가 스크립트 최상단에 오면 스크립트 전체가 모던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스크립트 최상단이 아닌 함수 본문 맨앞에 올수도 있다 -> 해당 함수만 엄격 모드로 실행 브라우저 콘솔 개발한 기능을 테스트 하기 위해 브라우저 콘솔을 사용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use strict가 적용되어 있지 않는다. use strict를 꼭 사용해야 하나요꼭 그렇지만은 않다. 누군가는 스크립트 맨 윗줄엔 "use strict"를 넣는 게 좋다고 권유할 수 있습니다 모던 자바스크립트는 '클래스’와 '모듈’이라 불리는 진일보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이 둘을 사용하면 use strict가 자동으로 적용 따라서 이 둘을 사용하고 있다면 스크립트에 "use strict"를 붙일 필요가 없습.. 2020. 12. 2. 자바스크립트란 자바스크립트는 웹페이지에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래밍언어 웹 페이지를 실행할 때 자동으로 실행된다.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서버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 이라 불리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들어 있는 모든 디바이스에서도 동작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동작 기본 원리 1. 엔진(브라우저라면 내장 엔진)이 스크립트를 읽는다(파싱) 2. 읽어 들인 스크립트를 기계어로 전환(컴파일) 3. 기계어로 전환된 코드가 실행 기계어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르다. 엔진은 프로세스 각단계마다 최적화를 진행한다. 심지어 컴파일이 끝나고 실행 중인 코드를 감시하면서 이 코드로 흘러가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께어로 전환된 코드를 다시 최적화 하기도한다. 이런 과정을.. 2020. 12. 1. 이전 1 2 3 다음